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미리 알았나?… 親트럼프 하원의원, '관세 유예' 발표 전 주식 매수

by beekaywhy 2025. 4. 22.

민주, 당국에 내부자 거래 가능성 조사 촉구 속 거래 시점 주목

미리 알았나?… 親트럼프 하원의원, '관세 유예' 발표 전 주식 매수
미리 알았나?… 親트럼프 하원의원, '관세 유예' 발표 전 주식 매수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지난 9일 중국을 제외한 다른 나라에 대한 국가별 상호관세를 90일간 유예하기로 발표하면서 미국 주식이 일부 회복된 가운데 친(親)트럼프 하원의원이 발표 당일 및 그 전날 최대 수십만달러 규모의 주식을 산 것으로 나타났다고 뉴욕타임스(NYT), 블룸버그통신 등이 15일(현지시간) 보도했다.

 

공화당 소속의 트럼프 충성파 마조리 테일러 그린 하원의원(조지아)은 이 같은 내용의 주식 거래 내역을 하원을 통해 공개했다.

 

미국 언론에 따르면 그린 의원은 지난 8일과 9일에 1천1달러에서 1만5천달러 범위에서 21건의 주식 거래를 했다.

 

양일간 매수한 금액은 2만1천 달러에서 31만5천달러 규모이다. 매수 종목에는 아마존, 테슬라, 애플, 엔비디아, 퀄컴, 블랙스톤 등이 포함됐다.

 

미 하원의원은 주식 거래에 대해 30일 이내 신고하게 돼 있으나 구체적인 금액 대신 대략적 범위만 기재하면 된다.

 

이 때문에 트럼프 대통령이 실제 90일 관세 유예를 전격적으로 발표하기 이전에 실제 어느 정도 거래가 있었는지 정확히 알기는 어렵다고 블룸버그통신은 보도했다.

 

다만 '90일 유예' 발표 전날인 8일 거래 금액은 1만1천11달러에서 16만5천달러 정도로 추산된다.

 

그린 의원은 또 같은 기간 5만달러에서 10만달러 사이의 국채도 매도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상호관세 발표 등으로 미국 주식시장이 급락하던 지난 9일 오전에 "지금은 매수 적기"라는 글을 올렸으며 뒤이어 "침착하라. 모든 것이 잘될 것"이라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관세 정책이 '절대 변경되지 않을 것'이라고 반복적으로 언급했으나 9일 낮에 전격적으로 '90일 유예' 조치를 발표했으며 그날 주식이 급등했다.

 

주식 시장은 이후 다시 하락하는 등의 모습을 보이고 있으나 그린 의원이 매입한 주식 대부분은 매입 때보다는 높은 가격대에 있다고 미국 언론이 전했다.

 

미국 야당이 민주당 의원들은 지난 11일 트럼프 대통령의 '90일 유예' 발표 전에 트럼프 측 인사들이 이른바 '내부자 거래'를 했는지 조사해줄 것을 당국에 촉구한 바 있다.

 

"1분기 미국 기업 파산 2010년 이후 최대, 중국도 파산 증가세"

 

경기 침체에 대한 우려 속에 미국과 중국에서 기업 파산이 증가세인 것으로 나타났다.

 

미 일간 월스트리트저널은 14일(현지시간)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글로벌마켓 인텔리전스 자료를 인용해 지난 1분기 약 190개 미국 기업이 파산보호를 신청했다고 보도했다.

 

2010년 1분기 250건을 넘은 뒤 가장 많은 것으로, 그동안은 175건을 넘은 경우도 없었다.

산업 별로는 산업재와 재량소비재 기업의 파산보호 신청이 각각 32건, 24건으로 가장 많았다.

부동산 시장이 좀처럼 살아나지 않고 있는 중국에서도 파산이 증가 추세다.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중국 최고인민법원의 지난달 발표를 보면 지난해 중국에서 심리를 거쳐 판결까지 간 파산 사건은 전년 대비 6.5% 늘어난 3만건가량이었다. 2020년 1만132건 대비로는 3배가 된 것이다.

 

최고인민법원은 회생 가능성이 없는 '좀비 기업'을 제때 청산시키고 '가짜 청산'으로 빚을 갚지 않는 경우는 엄벌했다는 입장이다.

 

하지만 로이터 통신은 주주 동의 없는 파산 신청 등 중국의 불투명한 파산 절차로 인해 외국인 투자자들이 위험에 노출된 상태라고 지적했다.

2019년 파산을 신청한 한 중국 업체에 투자했던 미국 투자자는 "중국 현지 법원은 언제나 자국민 편을 들고 미국인 주주의 권리는 무시하는 것 같다"고 비판했다.

 

호텔·농장 노동력문제 돕겠다면서 "원하면 재입국 신속 지원"
자진추방 프로그램 언급… AP "대규모 추방 공약한 강경기조와 차이"

 

불법 이민자에 대해 강경한 추방 정책을 시행해온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자진해서 출국하는 "선한" 불법 이민자에 대해서는 합법적으로 재입국할 수 있게 돕겠다고 밝혔다.

 

AP통신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15일(현지시간) 방영된 폭스뉴스 인터뷰에서 현재 행정부가 "살인범"들을 미국 밖으로 내보내는 데 주력하고 있다면서 다른 불법 입국자에 대해서는 "자진 추방 프로그램"을 도입하겠다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우리는 그들에게 돈을 좀 주고 비행기 표도 줄 것이다. 그리고 만약 그들이 선한 사람이고, 우리가 그들이 다시 (미국에) 오는 것을 원한다면 우리는 가능한 한 신속하게 다시 데려오기 위해 그들과 노력하겠다"라고 말했다.

 

다만 그는 자진 추방 프로그램에 대해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하지는 않았다.

 

트럼프 대통령은 인터뷰에서 미국의 호텔과 농장들이 필요한 노동자를 구할 수 있게 돕고 싶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그는 미국에 불법으로 체류하는 노동자들이 미국을 떠났다가 법적 허가를 받고 다시 미국에 오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그는 "우리는 자진 출국제를 하고 있고, 사람들이 이용하기 편하게 만들 것"이라면서 "그리고 우리는 그 사람들이 우리나라에 합법적으로 돌아올 수 있게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현재 미국의 농업과 서비스업은 불법 이민자가 제공하는 저임금 노동력에 크게 의존하고 있기 때문에 불법 이민자를 전부 추방하면 노동력이 부족하고 물가가 오를 수 있다는 우려가 있다.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은 노동력이 부족할 경우 일부 불법 이민자의 합법적인 재입국을 허용할 수도 있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대선 기간 불법 이민자를 범죄 집단으로 몰아가며 대규모 추방을 공약했는데 이번 발언은 그런 강경 기조와 차이가 있다고 AP통신은 평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