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가 최고가 경신
인공지능(AI) 기반 데이터 분석 소프트웨어 업체 팔란티어는 지난 2분기 10억 달러 매출과 주당 0.16달러(221원) 순이익을 기록했다고 4일(현지시간) 밝혔다.
매출은 시장조사 업체 LSEG가 집계한 9억4천만 달러를 웃돌며 사상 처음 매출 10억 달러를 찍었다.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48% 증가했다.
분석가들은 팔란티어가 올해 4분기에야 10억 달러 매출을 달성할 것으로 예상했지만, 이를 앞당겼다.
주당 순이익도 예상치 0.14달러를 상회했다.
팔란티어는 올해 매출 전망치를 41억4천200만 달러∼41억5천만 달러로 제시하며, 기존 38억9천만∼39억 달러에서 상향 조정했다.
팔란티어 최고경영자(CEO) 알렉스 카프는 주주 서한에서 "수년간의 투자와 외부의 조롱을 견디며 이제 우리의 사업 성장 속도가 급격히 가속화되고 있다"며 "회의론자들은 이제 힘을 잃고 우리에게 굴복했다"고 말했다.
이어 "대규모 언어모델(LLM)의 도래, 이를 구동할 칩, 그리고 우리의 소프트웨어 인프라가 맞물리며 가파른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고 강조했다.
팔란티어의 미국 매출은 전년 대비 68% 증가한 7억3천300만 달러를 기록했고, 민간 부문 매출도 지난해 같은 기간의 두 배인 3억600만 달러로 늘었다.
특히,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정부 효율화 정책의 수혜를 입으면서 미국 정부 매출은 전년 대비 53% 증가한 4억2천600만 달러를 기록했다.
이날 뉴욕 증시 정규장에서 팔란티어 주가는 전 거래일 대비 4.14% 상승한 160.66달러에 마감했다. 이는 종가 기준 역대 최고치로, 지난해 말 75.63달러 대비 두 배 이상 올랐다.
이날 실적 발표 후 시간외 거래에서도 주가는 5% 이상 상승했다.
돈내면 관세 낮춘 트럼프에 NYT "글로벌 강탈·교역인질과 협상"
美 경제력 지렛대로 불리한 조건 강요… 부동산 사업 시절 협상 전략
다른 나라도 모호한 대규모 투자 약속으로 '트럼프의 허영심' 이용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미국의 경제력을 지렛대 삼아 다른 나라가 미국에 대규모 투자를 하게 만들면서 관세 정책이 일종의 '수금 활동'으로 변질했다고 뉴욕타임스(NYT)가 4일(현지시간) 비판적으로 조명했다.
NYT는 트럼프 대통령이 다른 나라의 시장을 개방하고 미국의 무역적자를 줄이는 것에 그치지 않고, 교역 상대국에 대미 투자 약속의 형태로 돈을 내거나 천문학적인 관세를 맞으라고 사실상 요구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NYT는 한국, 일본, 유럽연합(EU)과의 협상을 사례로 제시했다.
예를 들어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달 30일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서 한국 정부 협상단과의 면담을 예고하고서는 "한국은 지금 당장 관세가 25%이지만 관세를 돈 주고 낮추겠다는 제안을 가지고 있다. 난 그 제안이 무엇인지 듣는 데 관심이 있다"고 밝혔다.
이 면담 직후 트럼프 대통령은 한국에 대한 상호관세를 15%로 낮췄다.
그 대가로 한국은 미국에 3천500억달러를 투자하고 1천억달러 상당의 액화천연가스(LNG)를 구매하기로 했다.
이에 앞서 일본도 5천500억달러 규모의 대미 투자 펀드를 조성하겠다고 했으며, EU도 유럽 기업들이 최소 6천억달러를 투자할 준비가 됐다고 밝혔다.
이를 두고 통상 전문가들은 트럼프 대통령이 교역 파트너와 협상하는지 교역 인질과 협상하는지 의문이라는 반응이라고 NYT는 전했다.
우익 성향 카토연구소의 스콧 린시컴 부소장은 "이건 의심할 여지 없이 일종의 글로벌 강탈(shakedown)"이라면서 "트럼프가 그럴 의향이 없는 국가들에 이런 조건을 사실상 강제하기 위해 관세 정책을 활용한다는 게 사실"이라고 말했다.
컬럼비아대 경영대학원 교수인 대니얼 에임스는 트럼프 대통령이 부동산 개발업자와 사업가 시절에 답습한 협상 전략을 무역 협상에 활용하는 것 같다고 평가했다.
그 시절 트럼프 대통령은 매우 낮은 가격으로 입찰하고, 현혹적인 구매 권유와 지렛대를 확보하기 위해 상대의 약점을 활용하는 능력으로 협상 상대를 흔드는 것으로 악명 높았다.
다만 에임스 교수는 일본, 한국, EU 같은 국가들이 궁극적으로 지키지 못할 수도 있는 대규모 투자 약속을 발표할 때 그들도 트럼프 대통령의 허영심을 이용하려는 것일 수 있다고 관측했다.
에임스 교수는 "나르시시스트와 협상할 때는 그들이 자기가 이겼다고 생각하게 만들 방법을 찾아야 한다"고 말했다.
NYT는 다른 나라들이 투자 약속을 모호하게 하는 '창의적인 방식'으로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를 피하려고 할 수 있다고 관측했다.
관세와 달리 투자와 구매 약속은 집행 여부를 감시하기가 쉽지 않다는 점에서다.
EU는 미국에 약속한 투자를 기업에 명령할 권한이 없으며 일본이 약속한 투자의 대부분은 대출 형태다.
투자 약속에 구체적인 내용이 없다 보니 이미 혼선이 일어나고 있다.
한국 정부는 대미 투자 3천500억달러가 대출과 대출 보증의 형태라고 설명했지만, 미국 정부는 투자 수익의 90%가 미국인에게 간다고 밝혔다.
국가들이 약속한 대미 투자 규모가 비현실적이라는 시각도 있다.
상무부 경제분석국(BEA) 통계에 따르면 2024년 외국의 대미 투자 총액은 1천510억달러로 집계됐는데 이는 이번 관세 협상에서 발표된 숫자의 일부에 불과하다는 데 NYT는 주목했다.
* 주요 뉴스/사건 브리핑 *
📈 1. 주식 시장 반등
지난 금요일 급락 이후 월요일 미 증시는 강하게 반등했습니다.
다우지수: +1.3% (약 585포인트 상승)
S&P 500: +1.5%
나스닥: +1.9%, 5월 말 이후 최대 상승폭
👥 2. 고용 부진 → 금리 인하 기대 상승
7월 비농업 신규 고용: 73,000명 증가 (전월 대비 급감, 이전 수치도 하향 수정됨)
5월과 6월의 고용 수치는 총 25만 8천 개 하향 조정됨
시장은 이를 연준의 금리 인하 신호로 해석하며 9월 인하 가능성 84~88%로 반영
🧾 3. 정치와 연준 이슈
트럼프 전 대통령, 노동통계국(BLS) 국장 에리카 맥엔타퍼 해임 발표
→ 이유: "조작된 고용 통계로 선거 개입 시도"
연준 내부에서도 의견 분분하지만, 메리 데일리 총재는 인하 가능성을 공식 언급
🌐 4. 글로벌 시장 및 경제 캘린더
미국발 금리 인하 기대감에 아시아 시장도 동반 상승
이번 주 경제 일정은 비교적 가볍고, 공장 주문·실업수당 청구 등 중간지표만 예정
🏭 5. 기업 실적
타이슨푸드(Tyson Foods) 등 주요 기업의 실적 호조가 시장 심리 개선에 기여
테슬라, 웨이페어, 아이덱스 래버러토리스 주가 상승
버크셔 해서웨이, 크래프트 하인즈의 손실로 하락
📊 6. 투자 전략 및 시장 전망
구분전략 요약단기기술주 및 AI 관련 주식의 저가 매수 고려. 고평가 섹터는 일부 차익 실현중기9월 금리 인하 시점까지 관망 및 포트폴리오 리밸런싱 고려장기AI, 헬스케어, 반도체 중심으로 성장주 비중 유지리스크 대응일부 자산을 현금, 단기채권으로 분산 유지
현재 시장은 "연준의 비둘기파적 입장 + 기업 실적 호조"에 의존 중
단, 정치적 개입 논란과 고용 통계 신뢰도 저하는 시장 변동성 확대 요인
✅ 요약
고용지표 부진과 금리 인하 기대감에 힘입어 미 증시는 강한 회복세를 보였으며, 연준의 대응과 정치적 개입 여부가 향후 시장 흐름의 주요 변수가 될 전망입니다.